너와 나의 의학고리
식중독이란&가을철 식중독 주의보 본문
날씨가 선선한 가을철에도
식품보관 온도를 지키지 않으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리식품의
보관과 섭취 및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중독이란?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소화기가
감염되어 설사•복통 등의
증상이 급성 또는 만성으로 발현되는
질환을 통칭하는 것으로 정확하게는
식품매개 질환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식중독의 원인균은 무엇이 있을까?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다양합니다.
1. 포도상구균
2. 살모넬라균
3. 비브리오균
4. 클레라균
5. 웰치균
등이 있으며, 위의 균으로 인하여 식중독이
일어납니다.
식중독의 증상은?
원인 물질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포도상구균 : 2~4시간 잠복기를 거쳐
심한 구토, 어지럼증,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살모넬라균 : 6~72시간 잠복기가 있고,
복통, 설사, 결리 있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 : 12~48시간 잠복기가 있고,
다리에 출혈 동반한 수포발생, 고열,
패혈증 등이 나타납니다.
이질 : 3일의 잠복기를 갖고 설사,
복통, 고열이 나타납니다.
O-157 : 3~9일 잠복기를 갖고 심한
복통과 출혈성 설사, 미열을
동반하는 장염이 나타납니다.
식중독의 진단 방법
몇몇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단순히
증상만 가지고는 그 원인균을 알 수 없으며,
역학조사나 일부 환자의
경과가 중한 경우 분비검사나 배양을
시행합니다.
식중독의 치료
설사와 구토에 의한 탈수를 교정하기 위해
경구적으로나 정맥주사를 통해서
수분 공급을 충분히 해 주는 등 보존적
치료방법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증상이 호전됩니다.
그러나 심한 탈수, 혈변 등 심각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예방이 최선이며, 적문의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식중독의 예방 방법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조리시
손을 자주 씻습니다.
또 한 신선하고 질좋은 식품을 선택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식품 조리이 사용하는 모든 기구는
깨끗이 세척 및 소독 하고
육류, 가금류, 계란, 및 해산물은 완전히
익혀 먹고, 모든 음식은 안전한 온도에서
보관합니다.
'전체보기 > 소화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용마기자 복막암&복막암이란? (0) | 2017.10.24 |
---|---|
간경화란?&간경화의 증상과 원인 (0) | 2017.10.08 |
위암이란? (0) | 2017.09.12 |
급성 B형 간염이란? (0) | 2017.09.10 |